1 |
(1강 영상을 만드는 카메라 메커니즘 및 구성원리)영화의 발명자 뤼미에르 형제, 프랑스 파리와 역사 |
|
|
7:9 |
2 |
(1강)카메라의 출현과 역사, 카메라 옵스큐라와 카메라 루시다 방식 |
|
|
8:39 |
3 |
(1강)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차이, 인간을 위한 도구들의 발명, 사진의 조건 3가지, 원격 |
|
|
9:51 |
4 |
(1강)사진과 영화의 상관관계, 최초의 영상포착, tv 주사선이 안 보이려면 |
|
|
11:34 |
5 |
(1강)카메라 메커니즘, 렌즈, 필름, 셔터 파트, 코닥과 필름 |
|
|
12:31 |
6 |
(1강)머이 브리지의 움직임의 포착, 영상의 시퀀스, 영화의 시작 |
|
|
13:25 |
7 |
(1강)사진의 발명 다게르, 사진에서 영화로 진화하는 방식 |
|
|
13:19 |
8 |
(1강)렌즈의 발달과 밝은 렌즈, 렌즈에 대해서 |
|
|
9:37 |
9 |
(1강)슬라이딩박스, 스테레오스코프, 멀티플라잉, 멀티플 렌즈 카메라 |
|
|
11:21 |
10 |
(1강)다양한 카메라, 머이 브리지와 머레이 |
|
|
14:20 |
11 |
(1강)머이 브리지, 스테레오스코프, 코닥 롤필름, 시네마토그라피, 키네토스코프 |
|
|
11:0 |
12 |
(1강)키네토스코프, 머이 브리지와 머레이, 로버트 프랭크, 영화적인 사진, 사진적인 영화를 이미지로 보여주는 방식들, 마무리 |
|
|
7:41 |
13 |
(2강 감각적 영상을 만드는 실전 프레임 워크)초점을 맞추는 것과 버리는 것, 장조와 단조, 메이저와 마이너, LCDF |
|
|
10:41 |
14 |
(2강)니엡스와 다게르, 디스턴스와 앵글과 디테일 |
|
|
9:18 |
15 |
(2강)제일 먼저 사진을 이용, 활용하려는 두 부류들 |
|
|
9:30 |
16 |
(2강)왜 사진, 영화의 발명이 프랑스여야만할까 |
|
|
8:45 |
17 |
(2강)사진과 영화에서 굉장히 중요한 시대, 멜랑꼴리의 출현, 기술미학과 기계미학 |
|
|
6:51 |
18 |
(2강)러시아 혁명, 폴 스트랜드, 루이스 하인, 외젠 앗제, 아우구스트 잔더 |
|
|
12:12 |
19 |
(2강)만레이, 앙드레 케르테츠, 에드워드 웨스턴, 사진을 통해서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5가지 |
|
|
12:42 |
20 |
(2강)앙리 카르티에 브레송, 폴 아웃터브리지, 헤롤드 에저튼, 앤셀 애덤스, 에드워드 웨스턴 |
|
|
16:37 |
21 |
(2강)브라사이, 마르셀 보비, 루이스 스테트너, 빌 브란트, 해리 켈러한, 로베르 드와노, 로버트 프랭크 |
|
|
13:44 |
22 |
(2강)유섭 카슈, 브란지, 윌리엄 클라인, 요제프 수덱, 마이너 화이트, 리 프리들랜더, 아인호노바, 데이빗슨 |
|
|
7:32 |
23 |
(2강)아버스, 머레이, 이글스톤, 스티븐쇼어, 로버트 애덤스, 듀안 마이클, 신디 셔먼, 메이플소프, 스코글런드, 포콩, 토마스 루프, 구르스키, 마틴 파 |
|
|
10:59 |
24 |
(3강 사진과 영화의 미학적 본질의 차이)사진과 영화의 미학적 본질의 차이, 빔 벤더스 |
|
|
11:8 |
25 |
(3강)빔 벤더스, 사진이 어떻게 영화처럼 근접할 것인지 |
|
|
10:21 |
26 |
(3강)스토리텔링의 시퀀스화 |
|
|
10:33 |
27 |
(3강)폴라로이드에 대한 이해, 빔 벤더스, 사진과 영화의 미학적 본질 |
|
|
10:46 |
28 |
(3강)압바스 키아로스타미, 시간이야기, 등장과 사라짐, 존재와 부재, 길 |
|
|
6:46 |
29 |
(3강)데이빗 린치 시퀀스 스토리텔링, 인더스트리얼, 데니스 호퍼 |
|
|
10:7 |
30 |
(3강)김명철 사진적 시각과 영화적 시각, 내러티브 |
|
|
13:17 |
31 |
(3강)김명철, 시퀀스 구성 |
|
|
12:17 |
32 |
(3강)데니 라이언 카메라웍, 영화처럼 사진을 찍다. 니콜라스 닉슨, 컷과 컷 사이의 미학적 본질성 |
|
|
11:28 |
33 |
(3강)레이 케이 메츠커, 컷과 컷 사이, 시간성, 내러티브의 차이, 영화와 사진의 절충과 차이 |
|
|
10:13 |
34 |
(3강)로버트 프랭크 스토리라인, 밀착 컷과 컷 사이 |
|
|
10:11 |
35 |
(3강)로버트 프랭크 스토리라인, 조세희 사진으로 어떻게 스토리텔링 구현하는지 |
|
|
11:12 |
36 |
(5강 실전 영화분석2 사진으로 영화읽기, 영화로 사진읽기)영화와 사진의 핵심적인 것, 영화 클로저 사진을 보면서 이해 |
|
|
22:56 |
37 |
(5강)클로저 영화보면서 설명 1 |
|
|
13:46 |
38 |
(5강)클로저 영화보면서 설명 2 |
|
|
13:50 |
39 |
(5강)영화 캐롤 사진을 보면서 이해 |
|
|
15:25 |
40 |
(5강)캐롤 영화보면서 설명 1 |
|
|
12:41 |
41 |
(5강)캐롤 영화보면서 설명 2 |
|
|
10:36 |
42 |
(5강)캐롤 영화보면서 설명 3과 마무리 설명과 질문답변 |
|
|
16:31 |